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산업용 로봇 시장

Job Designer 2017. 3. 1. 15:05

이번 포스팅에서는 IFR(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에서 제공한 World Robotics 2016 Industrial Robots 보고서를 기준으로 산업용 로봇 시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각주:1] 보고서는 2016년에 작성되었으며, 2015년까지의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산업용 로봇 시장


산업용 로봇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0년 이후, 연 평균 16%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전세계적으로 약 254,000 대의 로봇이 판매되었습니다. 이는 US$11.1 billion 정도의 가치를 갖는다고 합니다.[각주:2]


연도별 전세계 산업용 로봇 판매량

(출처: Executive Summary World Robotics 2016 Industrial Robots, IFR)



또한, 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9년까지 연 평균 13%정도의 성장률이 예상된다고 합니다.[각주:3]


연도별 산업용 로봇 판매량 및 수요예측

(출처: Executive Summary World Robotics 2016 Industrial Robots, IFR)



산업 별 로봇 시장


현재, 로봇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산업군은 자동차 산업(automotive industry) 분야입니다. 2015년 기준으로 약 97,500 대가 판매되어 38%의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 지난 수십년 동안 산업용 로봇의 상용화에 가장 큰 기여를 한 분야가 자동차 제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각주:4] 여기서, 흥미로운 점이 있습니다. 이미 자동차 분야에서 상당한 수의 로봇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자랑한다는 점입니다. 보고서에서는, 새로운 자동차 시장에서의 생산 기지 확장, 그리고 생산공정의 개선을 높은 성장률의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산업 별 산업용 로봇 판매량

(출처: Executive Summary World Robotics 2016 Industrial Robots, IFR)



다음으로 전기전자(electrical/electronics) 분야가 64,600 대로 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신규 제품의 수요 증가로 인해 로봇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저임금 국가에서 최근 임금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외에도 금속 및 기계, 고무 및 플라스틱, 식품 산업 등이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국가 별 로봇 시장


현재 로봇 시장은 특정 국가에 편중된 경향이 있습니다. 2015년, 주요 5개국(중국, 한국, 일본, 미국, 독일)의 로봇 시장은 전체 로봇 판매량의 75%를 차지하였습니다. 특히, 상위 3개국이 모두 아시아 국가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 


주요 국가의 산업용 로봇 판매량 및 수요예측

(출처: Executive Summary World Robotics 2016 Industrial Robots, IFR)



2015년, 산업용 로봇이 가장 많이 판매된 국가는 중국(China)이었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68,600 대의 로봇이 판매되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중국 로봇 제조업체로부터 생산된 중국산 로봇의 수가 20,400대나 됩니다.


대망의 2위는 한국(Republic of Korea)이었습니다. 총 38,300 대의 로봇이 2015년에 판매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제조업 규모가 얼마나 큰지, 그리고 자동화가 얼마나 많이 이루어졌는지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일본(Japan)에서는 2015년 약 35,000 대의 로봇이 판매되었습니다. 눈여겨볼 점은, 10년 전인 2005년 44,000 대의 로봇이 판매된 바 있다고 합니다. 이후 판매량이 감소하여 2009년 12,767대에 머물렀다가, 2010년부터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North America)독일(Germany)이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제조업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로봇 판매량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로봇 밀도 (robot density)


로봇 판매량이 가장 큰 나라는 중국이었습니다. 그러면, 로봇을 가장 잘 활용하고 있는 나라가 중국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일까요?


로봇 판매량은 제조업의 크기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래서 이 수치로 로봇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활용하는지를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고서에서는 로봇 밀도(robot density)라는 지표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로봇 밀도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인구 10,000명 당 산업용 로봇 수를 나타냅니다.


로봇 밀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한국이었습니다. 2015년 기준, 만명당 531 대의 로봇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싱가포르가 만명당 398대를 사용하였고, 일본은 305대, 독일은 301대가 사용되었습니다. 중국의 경우, 만명당 49대의 로봇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한국 밀도의 10%에 못 미치는 수치입니다.


참고로 로봇 밀도는 산업군의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자동차 산업은 로봇 밀도가 높은 편입니다. 2015년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에서는 만명당 1,218대의 로봇이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중요한 전자 산업이 있는 국가에서는 자동차 이외의 산업에서도 로봇 밀도가 높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의 경우, 자동차 이외의 산업에서도 만명당 411대의 로봇이 사용되었습니다. 한국의 높은 로봇 밀도는 자동차 산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 산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로봇 판매량이 2위인 것도 놀라운데, 로봇 밀도는 압도적으로 1위입니다. 통계자료를 통해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한국이 얼마나 비중있는 국가인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잘못된 내용이나 질문 있는 분들은 편하게 댓글 달아 주세요. 감사합니다.

  1. IFR은 매년 산업용 로봇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특히 요약문(Executive Summary)의 경우 무료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http://www.ifr.org/index.php?id=59&df=Executive_Summary_WR_Industrial_Robots_2016.pdf) [본문으로]
  2. 한화로 13조 정도 되네요. [본문으로]
  3. 높은 성장률의 동력은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문으로]
  4. 산업용 로봇 또한 자동차를 제조함에 있어 생산성과 품질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