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유연한(flexible) 자동화

Job Designer 2017. 3. 24. 21:44

허니버터칩을 기억하십니까? 한때 대단한 인기를 누리며 품귀현상을 보였고, 사람들은 이 과자를 구해보겠다며 온 동네 마트를 돌아다니곤 했습니다. 저도 편의점 직원과 친해져서 겨우 한개 구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디에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평범한 과자로 전락하였습니다. 강한 수요로 인해 생산규모를 확장하였으나 이 제품의 열기는 순식간에 사그라들었습니다. 이 외에도, 꼬꼬면, 처음처럼 순하리 등 반짝하는 수요가 있었다가 인기가 식어버린 제품이 제법 있습니다.[각주:1]


소비자의 요구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제품 수명 주기는 점점 짧아집니다. 이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유연한(flexible) 자동화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됩니다.


대학교 시절 배운 생산관리 수업에서 다양한 생산 기법을 접하였습니다.[각주:2]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생산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일관된 라인(line)을 꾸미고 대량생산(mass production)을 적용합니다. 낭비를 제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 JIT(just-in-time) 시스템도 인상적입니다. 일본이 자동차 산업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한 원동력 중 한가지였죠. 이와 반대로, 유연성(flexibility)을 강조한 job shop 생산기법이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생산관리에서는 효율성과 유연성이 반비례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므로 제품이나 산업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생산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갈수록 경쟁은 치열해지고 효율성과 유연성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켜야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 대한 한가지 해결책으로 범용 기계(general-purpose machine)가 있습니다만 가격이 비싸다거나 성능이 떨어지기때문에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었습니다.


최근 등장한 로봇은 적당한(affordable) 가격의 범용 기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협동로봇을 비롯한, 작고 사용하기 쉬운 로봇은 공정이나 제품이 바뀔 때 로봇을 재배치(redeployment)하여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용이합니다. 산업용 로봇은 유연한 자동화(flexible automation)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산업용 로봇 시장이 성장하게 되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입니다.



----------------


잘못된 내용이나 질문 있는 분들은 편하게 댓글 달아 주세요. 감사합니다.

  1. 관련기사 - http://news.mk.co.kr/newsRead.php?no=774248&year=2016 [본문으로]
  2. 이번 포스팅에서 언급한 생산관리 내용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박상욱 교수님의 2007년 2학기 생산관리 수업자료 및 내용을 참조하였습니다.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