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해 말, 프랑스 국적기인 에어프랑스를 타고 파리 공항에서 경유한 적이 있습니다. 항공사 사정으로 항공 스케쥴이 지연되었고, 경유 항공편 일정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유사한 상황에 처한 고객은 저 뿐만 아니었고, 에어프랑스 서비스 데스크 앞에는 수십명이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고객 한명의 일정을 변경하는데 30분 가까이 소요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총 7명의 직원이 있었으나 우수 고객과 휠체어를 탄 몸이 불편한 손님들을 우선적으로 응대하였고, 일반 고객들은 마냥 기다려야 했습니다. 일부 손님들이 강하게 항의하였으나 에어프랑스 직원들은 듣는 시늉도 하지 않았습니다. 1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수도 있겠습니다만, 이 장면을 보면서 프랑스의 생산현장을 상상해보았습니다. '직원들의 업무 속도 또한 느리지 않을까?' '만약 로봇이 제조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면 회사는 얼마나 좋아할까?'
IFR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2번째로 로봇을 많이 사용하는 나라이며, 로봇 밀도는 압도적인 차이로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치만 보면 대한민국은 로봇 보급률이 매우 높으며 로봇을 가장 잘 사용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2다시 말해, 한국은 제조설비가 선진화되어 있으며, 로봇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적극적인 국가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제조업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겠죠?
하지만 산업용로봇을 사용함에 있어 한가지 우려되는 점이 있습니다. 한국 문화에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빨리빨리'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로봇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목표가 달성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효율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산업용로봇이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로봇의 기술 사양을 초과하여 과도한 속도나 가속도로 로봇을 동작시킬 경우 모터나 감속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로봇 협업 공정에서는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힘이나 동력, 속도의 제한치를 설정합니다. 만약 효율성을 위해 안전을 간과한다면, 절대 있어서는 안될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산업용로봇을 제대로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잘못된 내용이나 질문 있는 분들은 편하게 댓글 달아 주세요. 감사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industrial robots
- 협동로봇
- IFR
- 로봇팔
- 로봇 제어
- robotics
- 기구학
- 모션
- 로봇 시스템
- human-robot collaboration
- 미래 로봇
- 로봇암
- IIoT
- robot market
- 유니버설로봇
- 안전 표준
- kinematics
- 로봇 응용
- 로봇 트렌드
- 산업용로봇
- cobots
- Robot Theory UR robots
- 로봇 어플리케이션
- 로봇 안전
- 사람 로봇 협업
- dynamics
- 동역학
- 로봇 시장
- 협업로봇
- 한국 로봇 시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