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이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웹사이트나 서적은 좀처럼 찾기 어렵다. 1년 전 이맘때, 내가 직접 산업용 로봇에 대해 적어보기로 마음먹었고, 블로그를 시작했다. 산업용 로봇의 전반적인 개요부터 시작해서 기술적인 상세한 내용과 앞으로의 전망까지,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구상했던 내용들을 일단은 한번씩 다루어보았다. 산업용 로봇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함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다. Part 1. 산업용 로봇 개요 산업용 로봇?다양한 타입의 산업용 로봇산업용 로봇의 구성컴포넌트로서의 로봇 Part 2. 마켓 트렌드 산업용 로봇 시장로봇 시장의 성장 요인사람-로봇 협업작고 쉬운 로봇유연한(flexible) 자동화중소기업을 위한 산업용로봇한국 로봇 시..
딥러닝으로 대표되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며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의 바둑대결에서 압승을 거두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대중의 관심 또한 뜨겁습니다. 첨단 과학기술이라는 점 때문인지, 과거 SF영화의 영향인지, 로봇과 인공지능을 동일시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산업용 로봇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산업용 로봇은 주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반복적으로 동작합니다. 다시말하면, 현재의 산업용 로봇은 생각보다 지능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용적인 인공지능 솔루션이 등장하고 로봇의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인공지능을 접목한 산업용 로봇 시스템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세계적으로 인더스트리(industry) 4.0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인더스트리 4.0은 제조기술 분야에서 자동화 및 데이터 교환의 최신 트렌드에 대한 이름이라 합니다. 이는 제조업이 나아갈 방향을 암시하는데, 제조현장의 각 개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급격한 발전의 핵심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조업의 주요 요소인 산업용 로봇 또한 연결성(connectivity)을 중심으로 한 변화가 예상됩니다. Industrial revolutions and future view (출처: Industry 4.0, Wikipedia) 원격 모니터링 산업용 로봇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로봇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제조 분야에서 연결성이 강조되면서 최..
산업용로봇이라고 하면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패턴의 동작을 반복하여 움직이는 모습을 상상하기 쉬울 것입니다.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봇의 작업영역은 제한되기 마련이죠. 만약, 로봇이 기동성(mobility)을 갖춘다면 어떨까요? 작업범위가 넓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로봇 한대로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Mount on linear track 사실 산업현장에서 LT(linear track) 위에 로봇암을 설치한 시스템은 전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아닙니다. 단지 자유도 하나 늘어난 것이지만 이를 통해 로봇이 도달할 수 있는 범위가 크게 확장되며 활용도가 늘어납니다. 시스템 통합(integration) 난이도 측면에서도 서보모터 하나 추가하는 것이므로 크게 어려운 기..
SI의 역할 누구나 쉽게 로봇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시기가 오면, SI(System Integrator)의 역할은 다분화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인터넷으로 로봇을 주문하더라도, 현장에 맞는 기계적 전기적 설치를 위해 기사를 부르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에어컨 설치 전문 기사를 떠올리면 이해가 쉽겠네요. 이 경우, 로봇 한대에 대한 마진은 적겠지만 오더 수가 많아져 충분히 매력적인 사업이 될 수 있습니다. 기술력을 갖춘 SI는 조금 더 다양한 옵션을 가질 것입니다. 향후, 로봇은 보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 것이고, 전에 없던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에도 사용될 것입니다. 이러한 어려운 프로젝트는 일반인이 직접 수행하지 못하고,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전문 SI가 수행할 것이다. 표준화 및 제품화..
단돈 $499(한화 약 55만원)으로 구입할 수 있는 로봇암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로봇 (출처: uArm Swift, UFACTORY) 중국의 스타트업, UFACTORY의 uArm Swift 시리즈가 그 주인공입니다. 비록 반복정밀도가 5mm에 불과한 4자유도 로봇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백만원이 채 안되는 로봇암은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이 로봇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직접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UFACTORY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 동영상을 따라하면 초보자도 이 로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품 자체의 가격이 낮은 것도 있지만, 로봇암을 이렇게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는 건, 온라인으로 직접 구입하여 스스로 프로그래밍하여 사용하는 것이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일..
기존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 제조업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물리적으로 사람이 해내기 어려운 일을 로봇이 수행함으로써 생산 속도와 품질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산업용 로봇 비용이 내려가고 기술적으로 설치 및 프로그래밍이 쉬워지면서 전자전기, 금속, 정밀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순 반복 업무는 로봇에 맡기고 사람은 보다 창의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일에 집중함으로써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한 회사는 보다 높은 경쟁력을 갖추게 되는 것이죠. 앞으로는 '공장'과 같은 전형적인 산업 현장 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을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농업(agriculture) 농업(agriculture)은 로봇의 적용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대..
안전관련 법 vs 표준 포스팅에서, EU directive가 유럽 대부분 국가에서 법으로 적용되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국내에서 산업용 로봇을 사용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법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자율안전확인 신고 산업안전보건법 제35조에 따르면,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및 기구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는지 확인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신고한 경우, 자율안전확인의 표시를 해야 합니다. 산업용 로봇은 자율안전확인대상에 해당되며, 자율안전확인을 신고한 후 KCs 마크를 부착합니다. 안전성을 확인하고 마크를 부착한다는 점에서, 자율안전확인 신고는 CE마킹과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또한, 자율안전기준은 ISO 10218-1 등 관련 표준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
위험성 평가의 의무성 기계류지침(Machinery Directive)에 의하면 필수 안전 요구사항(essential health and safety requirements)을 충족시키고,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는 기계류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mandatory) 사항입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킨 제품에 대해 CE 마크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로봇 시스템의 위험성 평가 로봇 제조사에서 제품 자체에 대해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지만, 산업용 로봇은 partly completed machinery 로 분류되기 때문에 CE 마크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또는 시스템 통합자(system integrator)가 로봇 시스템 전체에 대해..
산업용 로봇 안전 표준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과 관련된 국제 안전 표준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 중에서도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협동로봇과 관련된 안전 표준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협동로봇은 산업용 로봇의 한 종류입니다. 즉, 협동로봇 또한 산업용 로봇의 안전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산업용 로봇의 안전 요구사항을 담고 있는 ISO 10218은 협동로봇에서도 가장 중요한 표준이라 할 수 있으며, 안전 관련 제어시스템은 ISO 13489을 토대로 설계하고 성능레벨을 평가합니다. 또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경우에는 ISO 12100을 참고합니다. 4 types of collaborative operation 협동로봇의 정의 또한 ISO 10218-1에서 찾을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람 로봇 협업
- IIoT
- kinematics
- 모션
- 로봇 시장
- 로봇팔
- 로봇 트렌드
- 산업용로봇
- IFR
- cobots
- 협업로봇
- 로봇 어플리케이션
- 유니버설로봇
- 로봇 응용
- 한국 로봇 시장
- 미래 로봇
- 기구학
- industrial robots
- 로봇 안전
- 로봇 제어
- 로봇 시스템
- 협동로봇
- dynamics
- 안전 표준
- Robot Theory UR robots
- robot market
- robotics
- 로봇암
- 동역학
- human-robot collaborat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