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의 의무성 기계류지침(Machinery Directive)에 의하면 필수 안전 요구사항(essential health and safety requirements)을 충족시키고,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는 기계류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mandatory) 사항입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킨 제품에 대해 CE 마크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로봇 시스템의 위험성 평가 로봇 제조사에서 제품 자체에 대해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지만, 산업용 로봇은 partly completed machinery 로 분류되기 때문에 CE 마크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또는 시스템 통합자(system integrator)가 로봇 시스템 전체에 대해..
산업용 로봇 안전 표준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과 관련된 국제 안전 표준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 중에서도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협동로봇과 관련된 안전 표준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협동로봇은 산업용 로봇의 한 종류입니다. 즉, 협동로봇 또한 산업용 로봇의 안전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산업용 로봇의 안전 요구사항을 담고 있는 ISO 10218은 협동로봇에서도 가장 중요한 표준이라 할 수 있으며, 안전 관련 제어시스템은 ISO 13489을 토대로 설계하고 성능레벨을 평가합니다. 또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경우에는 ISO 12100을 참고합니다. 4 types of collaborative operation 협동로봇의 정의 또한 ISO 10218-1에서 찾을 ..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안전 표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계류 표준 분류 (classification of machinery standards) 구체적인 표준을 살펴보기 앞서, 표준의 유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안전관련 법 vs 표준 포스팅에서 기계류 지침(machinery directive)이 있고, 이에 대한 조화 표준(harmonized standards)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기계류 지침 적용 가이드 111번 항목에 따르면, 기계류 표준(machinery standards)은 크게 세 가지 타입(type)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A-type 표준은 기본적인 컨셉, 용어, 그리고 설계 원칙을 구체화합니다. 기계류 지침을 따르는 모든 종류의 기..
산업현장에서 안전은 언제나 가장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산업용 로봇이 가져다 주는 이점은 매우 크고 다양하지만, 만약 이로인해 사람이 다치기라도 한다면 곤란하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을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지침이 되는 법과 표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법 (law) 법은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의무적인(mandatory) 규정입니다. 로마에서는 로마법을 따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나라에는 저마다의 법(local law)이 있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법 내용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산업 안전 관련 법의 경우, 객관적이고 기술적인 내용을 근거로 만들어지므로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에는 EU directive 라는 지침이 있습니다...
지난 해 말, 프랑스 국적기인 에어프랑스를 타고 파리 공항에서 경유한 적이 있습니다. 항공사 사정으로 항공 스케쥴이 지연되었고, 경유 항공편 일정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유사한 상황에 처한 고객은 저 뿐만 아니었고, 에어프랑스 서비스 데스크 앞에는 수십명이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고객 한명의 일정을 변경하는데 30분 가까이 소요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총 7명의 직원이 있었으나 우수 고객과 휠체어를 탄 몸이 불편한 손님들을 우선적으로 응대하였고, 일반 고객들은 마냥 기다려야 했습니다. 일부 손님들이 강하게 항의하였으나 에어프랑스 직원들은 듣는 시늉도 하지 않았습니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수도 있겠습니다만, 이 장면을 보면서 프랑스의 생산현장을 상상해보았습니다. '직원들의 업무 ..
기존의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 회사를 비롯한 대기업을 중심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사람-로봇 협업, 작고 가벼우며, 사용하기 쉽고, 유연한 특징들로 인해 중소기업에서의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 산업용 로봇은 별도의 독립적인 작업 셀(cell)이 필요했습니다. 결국, 생산 규모가 크고 복잡한 공장에서 로봇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사람-로봇 협업이 가능해짐으로써, 별도의 로봇 작업 셀이 불필요해집니다. 또한 일부의 공정에만 로봇을 적용하고 나머지 작업은 여전히 사람이 담당함으로써 생산공정 전체를 변경해야 하는 부담을 버릴 수 있습니다. 덩치가 크고 무거운 로봇을 설치하려면 상당한 규모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를 다루기 위한 별도의 설비도 갖춰야 합니다. 작고 가벼운 로..
허니버터칩을 기억하십니까? 한때 대단한 인기를 누리며 품귀현상을 보였고, 사람들은 이 과자를 구해보겠다며 온 동네 마트를 돌아다니곤 했습니다. 저도 편의점 직원과 친해져서 겨우 한개 구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디에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평범한 과자로 전락하였습니다. 강한 수요로 인해 생산규모를 확장하였으나 이 제품의 열기는 순식간에 사그라들었습니다. 이 외에도, 꼬꼬면, 처음처럼 순하리 등 반짝하는 수요가 있었다가 인기가 식어버린 제품이 제법 있습니다. 소비자의 요구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제품 수명 주기는 점점 짧아집니다. 이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유연한(flexible) 자동화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됩니다. 대학교 시절 배운 생산관리 수업에서 다양한 생산 기법을..
산업용 로봇은 수십년 전부터 사용되어 왔습니다. 주로 자동차 제조과정에서 차체핸들링, 스폿용접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수백킬로에 달하는 물체를 번쩍 들어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로봇들은 대부분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지 못하는 생산현장이 많습니다. 또한, 대형로봇이 필요한 현장에서는 이미 적용한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앞으로도 대형 로봇의 수요는 상당하겠지만, 두드러진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KUKA KR1000 Titan (출처: http://tools-guru.com/industry/kuka-titan/) Compact and lightweight 최근에는 콤팩트(compact)한 사이즈의 소형로봇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에는 어떤 배경이 있을까요?..
로봇 시장의 성장 요인 포스팅에서 사람-로봇 협업(Human-Robot Collaboration)은 전환점(breakthrough)을 맞이할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람-로봇 협업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념 사람과 로봇의 협업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 산업용 로봇이 사용되는 방식을 확인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은 사람과 충돌할 경우 치명적인 부상을 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안전펜스를 설치하여 사람과 로봇을 격리합니다. 로봇이 동작할 때에는 사람이 작업영역 안으로 들어가면 안됩니다. Traditional robotic work cell 이와 달리, 사람-로봇 협업 작업에서는 로봇의 작업영역 안에 사람이 들어가 함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FR 보고서, Executive Summary World Robotics 2016 Industrial Robots 에서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의 산업용 로봇 시장에 대하여 매년 두 자릿수 대의 성장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을 나열하였는데, 각각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당수는 단순히 "로봇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항목들은 추가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별도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1. 인더스트리 4.0은 실제 공장과 가상 현실을 연결시키고, 이는 전세계 제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컴포넌트로서의 로봇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로봇은 제조업에서 자동화 시스템의..
- Total
- Today
- Yesterday
- 로봇 시스템
- 산업용로봇
- cobots
- 안전 표준
- Robot Theory UR robots
- 미래 로봇
- robot market
- IFR
- 기구학
- 협업로봇
- 유니버설로봇
- 로봇 응용
- 협동로봇
- human-robot collaboration
- 로봇 어플리케이션
- 로봇 안전
- 한국 로봇 시장
- robotics
- 로봇팔
- IIoT
- kinematics
- 사람 로봇 협업
- 동역학
- 로봇 시장
- 로봇암
- 로봇 제어
- dynamics
- industrial robots
- 로봇 트렌드
- 모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