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 제조업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물리적으로 사람이 해내기 어려운 일을 로봇이 수행함으로써 생산 속도와 품질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산업용 로봇 비용이 내려가고 기술적으로 설치 및 프로그래밍이 쉬워지면서 전자전기, 금속, 정밀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순 반복 업무는 로봇에 맡기고 사람은 보다 창의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일에 집중함으로써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한 회사는 보다 높은 경쟁력을 갖추게 되는 것이죠. 앞으로는 '공장'과 같은 전형적인 산업 현장 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을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농업(agriculture) 농업(agriculture)은 로봇의 적용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대..
미래의 산업용 로봇은 어떤 모습일까요? 언제나 그랬듯 기술은 진보를 거듭할 것이고, 이로 인해 미래의 산업용 로봇은 지금과 조금 다른 특징을 가질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 안전이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지난 해 국내에서 개최된 IROS 2016의 특별세션 Safety-Rated Sensing for Collaborative Applications 의 발표내용을 참조하였습니다. Be more sensitive 기술의 진보 덕분에 산업용 로봇은 더 안전해질 것입니다. 특히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로봇을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power and force 제한 기능은 한층 민감해질(sensitive)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로봇은 미세한..
안전관련 법 vs 표준 포스팅에서, EU directive가 유럽 대부분 국가에서 법으로 적용되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국내에서 산업용 로봇을 사용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법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자율안전확인 신고 산업안전보건법 제35조에 따르면,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및 기구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는지 확인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신고한 경우, 자율안전확인의 표시를 해야 합니다. 산업용 로봇은 자율안전확인대상에 해당되며, 자율안전확인을 신고한 후 KCs 마크를 부착합니다. 안전성을 확인하고 마크를 부착한다는 점에서, 자율안전확인 신고는 CE마킹과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또한, 자율안전기준은 ISO 10218-1 등 관련 표준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로봇암
- 로봇 시스템
- 로봇 트렌드
- IFR
- 협업로봇
- 유니버설로봇
- 로봇 안전
- Robot Theory UR robots
- 협동로봇
- 로봇 응용
- 로봇 어플리케이션
- human-robot collaboration
- 산업용로봇
- IIoT
- dynamics
- 모션
- kinematics
- 로봇 제어
- 미래 로봇
- 로봇팔
- robotics
- industrial robots
- cobots
- 동역학
- robot market
- 한국 로봇 시장
- 사람 로봇 협업
- 안전 표준
- 로봇 시장
- 기구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