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의 의무성 기계류지침(Machinery Directive)에 의하면 필수 안전 요구사항(essential health and safety requirements)을 충족시키고,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는 기계류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mandatory) 사항입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킨 제품에 대해 CE 마크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로봇 시스템의 위험성 평가 로봇 제조사에서 제품 자체에 대해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지만, 산업용 로봇은 partly completed machinery 로 분류되기 때문에 CE 마크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사용자 또는 시스템 통합자(system integrator)가 로봇 시스템 전체에 대해..
산업용 로봇 안전 표준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과 관련된 국제 안전 표준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 중에서도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협동로봇과 관련된 안전 표준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협동로봇은 산업용 로봇의 한 종류입니다. 즉, 협동로봇 또한 산업용 로봇의 안전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산업용 로봇의 안전 요구사항을 담고 있는 ISO 10218은 협동로봇에서도 가장 중요한 표준이라 할 수 있으며, 안전 관련 제어시스템은 ISO 13489을 토대로 설계하고 성능레벨을 평가합니다. 또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경우에는 ISO 12100을 참고합니다. 4 types of collaborative operation 협동로봇의 정의 또한 ISO 10218-1에서 찾을 ..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용 로봇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안전 표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계류 표준 분류 (classification of machinery standards) 구체적인 표준을 살펴보기 앞서, 표준의 유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안전관련 법 vs 표준 포스팅에서 기계류 지침(machinery directive)이 있고, 이에 대한 조화 표준(harmonized standards)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기계류 지침 적용 가이드 111번 항목에 따르면, 기계류 표준(machinery standards)은 크게 세 가지 타입(type)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A-type 표준은 기본적인 컨셉, 용어, 그리고 설계 원칙을 구체화합니다. 기계류 지침을 따르는 모든 종류의 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로봇 응용
- industrial robots
- 기구학
- 협동로봇
- 로봇팔
- 한국 로봇 시장
- kinematics
- 로봇 어플리케이션
- 유니버설로봇
- dynamics
- 안전 표준
- 로봇암
- IFR
- 협업로봇
- 로봇 시장
- 산업용로봇
- robotics
- human-robot collaboration
- cobots
- 미래 로봇
- Robot Theory UR robots
- 로봇 트렌드
- robot market
- 사람 로봇 협업
- 로봇 안전
- 로봇 시스템
- 동역학
- IIoT
- 모션
- 로봇 제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